건강 – 장내 미생물과 면역력의 과학적 연관성
우리 몸속에는 약 100조 개 이상의 미생물이 존재하며, 그 대부분은 장에 서식한다. 이를 ‘장내 미생물’ 또는 ‘마이크로바이옴’이라고 부른다. 장내 미생물은 단순히 음식물 소화를 돕는 역할을 넘어, 면역력 유지와 질병 예방에 깊이 관여한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장내 미생물의 구성과 균형은 면역 세포의 활동, 염증 반응, 심지어 알레르기와 자가면역 질환의 발생 여부에도 영향을 미친다.
건강한 장내 환경은 다양한 종의 유익균이 균형을 이루고 있을 때 형성된다. 대표적인 유익균으로는 비피도박테리움, 락토바실러스 등이 있으며, 이들은 장 점막을 보호하고 병원성 세균의 침입을 막는다. 반대로 유해균이 과도하게 증가하면 장 점막에 염증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장 투과성이 높아져 독소와 세균이 혈액으로 유입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를 ‘장누수 증후군’이라고 하며, 면역체계 과민 반응과 전신 염증을 유발할 수 있다.
장내 미생물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식습관이 결정적이다. 식이섬유가 풍부한 채소, 과일, 통곡물은 유익균의 먹이가 되는 프리바이오틱스 역할을 한다. 또한 김치, 요구르트, 된장 같은 발효식품은 프로바이오틱스를 공급해 장내 환경을 개선한다. 반면, 과도한 가공식품과 고당분 식품은 유해균의 성장을 촉진해 장내 균형을 무너뜨린다.
흥미롭게도 장내 미생물은 비만과도 연관이 있다. 일부 연구에서는 비만인 사람의 장내 미생물 구성이 정상 체중자와 다르며, 특정 균 비율이 지방 축적과 대사율에 영향을 준다는 결과를 발표했다. 또 장내 미생물은 뇌와도 연결돼 있어, ‘장-뇌 축’이라는 개념으로 불린다. 이는 장내 상태가 신경전달물질 분비와 스트레스 반응에까지 영향을 미친다는 의미다.
전문가들은 면역력을 높이기 위해 장내 환경 개선을 가장 먼저 권고한다. 규칙적인 식사, 충분한 수분 섭취, 스트레스 관리, 그리고 항생제의 불필요한 사용을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 최근에는 개인의 장내 미생물 구성을 분석해 맞춤형 식단과 프로바이오틱스를 추천하는 서비스도 늘고 있다. 이는 질병 예방과 맞춤형 건강 관리의 미래를 보여주는 사례로 주목받는다.
건강한 장내 미생물 생태계를 유지하는 것은 단순한 소화 건강을 넘어, 우리 몸 전체의 방어 시스템을 강화하는 핵심이다. 매일의 식탁 위 선택이 우리의 면역력 수준을 결정짓는 셈이다.
기사제보 : news@presswaveon.com ㅣ 프레스웨이브
